카테고리 없음

정화조 설치 유무 확인

갱준빠 2024. 6. 20. 13:11

Basis

하수도법 제34조(개인하수처리시설의 설치)를 보면,
"오수를 배출하는 건물, 시설 등을 설치하는 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개인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하수도법 시행령을 보면, 1일 오수 발생량 2세제곱미터 이하인 건물의 경우 정화조를 설치하라고 나와있다.
소규모 및 전원주택을 지을때는 '정화조'를 설치하면 되는데, 작은 의미의 개인하수처리시설로 이해하면 된다.

-----------------------------------------------------------------------------------------------------------------------------------------------------------------

Step 1. 단독 정화조 VS 오수합병정화조

 1. 단독 정화조 

   1) 1일 오수 발생량 2세제곱미터 이하인 건물 (수세식 변기에서 나오는 오수만 정화조 연결)

 2. 오수합병정화조

   1) 1일 오수 발생량 2세제곱미터 초과인 건물 (오수/생활하수 등 모두 정화조에 연결)

   2) 단독 정화조에 비해 설치 및 비용 발생, 년1회 주기적 청소 필요

   3)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및 정화조 처리대상인원 산정 기준 참고하여 계산

      [시행 2024. 5. 31.] [환경부고시 제2024-108호, 2024. 5. 31., 일부개정]

 

-----------------------------------------------------------------------------------------------------------------------------------------------------------------

Step 2. 정화조 설치를 안할수 있다?

 

건축대지에 '분류식 하수관로'가 있으면 된다.

 

하수관로의 종류는 두 가지이다. 

1) 합류식 하수관로
합류식 하수관로는 관이 1개라고 생각하면 된다.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우수, 지하수 등 모든 물들이 하나의 관을 통해 흘러간다.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공사의 편이성 때문에 기존에 주로 건설한 관로들인데, 문제는 오수와 섞여 있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한다. 

2) 분류식 하수관로.
분류식, 즉 오수와 우수를 각각 다른 관으로 분리했다고 보면된다.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환경적 요인때문에, 기존 합류식에서 분류식으로 공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신규지역 위주로 먼저 진행되다 보니 해당 대지의 분류식 하수관로가 유무는 해당 지자체에 문의필요

 

-----------------------------------------------------------------------------------------------------------------------------------------------------------------